金德圭가 드리는 아침 소리 글
 
홈으로
1. 홈피 둘러보기 전에
아침 소리의 생각
짦은 소리 글
긴 소리 글
아침소리 캠페인
MV Book Series
기도로 채워지는 하나님의 시간
살아만 있어다오
봉화
MV Book을 읽고
기도 수첩에서
함께 보는 아름다운 세상
천안함 46 용사 순국5주기 추모
“통영의 딸” 데려오자
'탈북 청소년 9인' 데려오자
라디오 방송 인터뷰
신문 잡지 인터뷰

534
584
1,994
632,929
 
작성일 : 13-01-01 08:01
밤 하늘에 쓴 시
 글쓴이 : 金德圭
조회 : 2,810  
1. 프롤로그

밤하늘에 별이 그렇게 많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된 사람이 누구일까요?

아마도 아브라함이 아닐까요?

아득히 먼 옛날
어느 날 밤에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의 손을 잡고
장막(帳幕) 밖으로 나왔습니다.

자신이 만든 우주를
아브라함에게 보여 주시려고 그랬던 것이지요

눈앞에 끊임없이 펼쳐지는 별들의 세상,
그 경이로움,
신비함

찬탄 외에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는 아브라함에게
여호와는
별들을 헤아려보라고 하셨습니다.

아브라함이 몇 개 까지 세어 보았을까요?


정말
그는 그렇게 별 들이 많은지 몰랐었습니다.

그 이후
아브라함은
밤마다 별을 쳐다보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밤하늘에 시를 쓰는 사람이 이렇게 탄생 된 것 이었습니다.


2. 큰일이 났다.

누군가가 황급히 큰일 났다며 깨운 탓에
잠자리를 박차고 밖으로 뛰쳐나갔더니

아 정말,
큰일이 나 있다

가없는 밤하늘을 가득채운 별들이
자신이 보듬은 별빛들을 쉴 새 없이 지상으로 쏟아 내리고 있다

창조주(創造主)가 매일 밤마다 보여주는 저 장엄한 광경을
지난 십 수 년 동안
한 번도 겸허하게 보려는 생각을 하지 않은 것도
큰 일,

밤하늘의 장관(壯觀) 보다도
도시 야간 문화에 마음이 송두리째 빼앗겼던 것도
큰 일,

못 볼 것을 너무나 많이 보아 온 내 눈이
천상(天上)의 별들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을 정도로
약시(弱視)가 된 것이
더 큰일이다

눈을 뗄 수 없는 적도(赤道)의 밤하늘에는
창조된 세계가 선사받은 신성(神聖)함을
자랑스럽게 빛내고 있다

이제 정말로 큰일은
저 광대한 우주가 내 작은 가슴 속으로 들어온 것이다



3. 국경(國境)의 밤하늘


그래도
중국이 북조선보다 나을 줄 알았지만
사람 잡는 데는 마찬가지구나

아무리 둘러보아도
우리 구해 줄 이 뵈지 않는다

사방 다 에워 쌓여 있으나
하늘만은 뚫려있네

살을 에는 밤,
별빛마저 힘겹게 눈물 따라 흐르나

별똥별 하나
긴 울음 태우며
남녘으로 날아간다



4. 도시 밤하늘

도시의 밤하늘은 별들의 묘지이다.

그 묘지 밑에 사는 사람들은
별들이 보이지 않아도
아무도 슬퍼하지 않는다.

마치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이한
예수를
슬퍼하지 않았듯이.

도리어
별빛이 죽은 틈을 타
온갖 악행을 스스럼없이 하고 있지 않은가?

진정 그 들에게 필요한 것은

누군가의 손에 끌려
도시 밖으로 나가는 것,

하늘의 별 세계를 보여 주는 것
별들을 세어 보게 하는 것

잊어버렸던 전설을 기억해 내게 하는 것이리라.




5. 에필로그


밤하늘에 별들이 정말 그렇게 많을 줄 몰랐지요?

왜 그렇게 많은가 묻는 당신에게
사람이 죽고 나면 그 영혼들이 별로 태어나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차라리
사람들이 가진 아름답고 슬픈 추억이
별 하나에 기억되기에
그렇게 많이 만들어 놓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어느 시인의 노래는 답이 될까요?

내 기억의 처음을 찾아 가면
어느새
하늘의 별에 도달한다는 것으로 보아서
답이 될 듯 도 합니다.

오늘로서
그 동안 잃어버렸던 전설을 되찾았으니
다시는 전설이 되지 않게 하여야겠지요.

이를 위해
도시의 불을 다 꺼버리려는 무모한 짓 보다는
기억 속에 찬찬히 빛나는
별 세계를 하나씩 풀어내는데 게으르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밤하늘의 별들은 눈에 비치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에 떠오르는 것이니까요.

* 2013-1-26 글 고침

손영준 13-01-11 13:19
답변  
별을 헤는 마음을 가진 소년 장로님^^
지난 9월 연길 방문 때에 윤동주 생가 방문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거기서 서시를 읽으며
조국의 현실이 더 아프게 다가왔었습니다...
     
金德圭 13-01-14 09:37
답변  
손 목사님,

반갑습니다.
카톡을 통하여 묵상의 말씀을 잘 읽고 있습니다.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아마 한국 사람들이 제일 좋아하는 시 중에 하나가 윤동주 시인의 서시가 아닐까 합니다.
저 역시 서시를 아주 좋아합니다.

조국의 아픈 현실은 복음으로의 통일이 되기까지 그대로 남아 있겠지요.
먼 타국에서 매일의 삶을 살아가는 것도 쉽지 않을 터인데 조국에 대한 애절한 마음이 변함이 없으시다는 것, 정말 우리들이 높이 사야할 나라사랑하는 마음인것 같습니다.

이렇게 귀한 격려의 글을 남겨 주셔서 고맙습니다(아침소리).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Copyright ⓒ 2011 MORNING VOICE. All rights reserved.
모든 글의 Copyright는 金德圭에 속합니다.